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주소] 행안부 오픈 API 좌표 -> 경,위도 좌표 변환


주소를 경,위도 좌표로 변환해야 할 때가 있다. 

지도위에 위치 마커를 출력할 때, 검색된 위치에 마커를 표시할 때....

#GPS #위치정보 #Redshift #행안부 #오픈API #OpenAPI

 행안부 오픈 API 좌표 -> 경,위도 좌표 변환

1. web에서 전환하는 방법

proj4.defs["EPSG:5179"] 〓 "+proj〓tmerc +lat_0〓38 +lon_0〓127.5 +k〓0.9996 +x_0〓1000000 +y_0〓2000000 +ellps〓GRS80 +units〓m +no_defs";//제공되는 좌표 

var grs80 〓 proj4.Proj(proj4.defs["EPSG:5179"]) 
var wgs84 〓 proj4.Proj(proj4.defs["EPSG:4326"]); //경위도 

var p 〓 proj4.Point( 945959.0381341814 , 1953851.7348996028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좌표 
p 〓 proj4.transform( grs80, wgs84, p); 

d0cument .write(p.x + " " + p.y); 

//출력결과 
wgs84 : 126.88793748501445 37.582468731587305

2. java application에서 전환하는 방법

double x 〓 Double.parseDouble( point[0] );//x좌표 
double y 〓 Double.parseDouble( point[1] );//y좌표 

CRSFactory factory 〓 new CRSFactory(); 
CoordinateReferenceSystem srcCrs 〓 factory.createFromName("EPSG:5179");//현재 좌표 
CoordinateReferenceSystem dstCrs 〓 factory.createFromName("EPSG:4326");//변경할 좌표 

BasicCoordinateTransform transform 〓 new BasicCoordinateTransform(srcCrs, dstCrs); 

ProjCoordinate srcCoord 〓 new ProjCoordinate(x, y); 
ProjCoordinate dstCoord 〓 new ProjCoordinate(); 

transform.transform(srcCoord, dstCoord);//좌표변환 
System.out.println(dstCoord.x + "," + dstCoord.y);//변환된 좌표 

3. 단건 변환
  • 국토정보플랫폼 > 국가수직기준연계 > 좌표변환 접속 (http://map.ngii.go.kr/ms/mesrInfo/coordinate.do)
    • 좌표계 선택 : UTM-K
    • N 좌표 입력 : {건물중심점Y좌표}
    • E 좌표 입력 : {건물중심점X좌표}
  • 좌표변환 클릭
    • 위경도 단위 Degeree 선택


4. AWS Redshift 에서 변환하기
     Redshift는 PostgreSQL을 기반으로한  DW 목적으로 만든 서비스 임.
select  st_y(geom) as latitude,
        st_x(geom) as longitude,
        spcl_city_do_nm,
        city_gun_gu_nm,
        admst_dong_nm,
        up_myun_dong_nm,
        city_gun_gu_bld_nm,
        dtl_bld_nm
from    (
            select  *,
                    st_transform(st_setsrid(st_makepoint(bld_ctr_x_coord, bld_ctr_y_coord), 5179), 4326) as geom
            from    dw_comm.comm_navi_bld_info
            where   del_flag = 'N'
            limit   5
        )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quaser.dev][2014-09-14] 윈도우즈(10, 64bit)에 개발환경 설정하기

[quaser.dev][2014-09-14] 윈도우즈(10, 64bit)에 개발환경 설정하기

[2024-10-19] iPhone, iPad에서 ChatGPT로 PDF 생성시 한글 깨짐 해결 방법

iPhone, iPad에서 ChatGPT로 PDF 생성 시 한글 깨짐 해결 방법

[2025-04-16(수)] OpenAI gpt-4.1 시리즈 발표, Anthropic Claude에 대한 생각

OpenAI gpt-4.1 시리즈 발표, Anthropic Claude에 대한 생각 안녕하세요. 클스 입니다. 4/15일자로 openai가 gpt-4.1 시리즈를 발표 했습니다. 현재는 api로만 사용가능합니다. 점차 웹/앱 사용자에게 오픈 될거라 생각 됩니다. 비용상 문제로 4.1-mini, nano를 사용해서 chatbot을 만들어 보고 있습니다. 4o 시리즈 보다는 확실히 빠르고, 답변의 정확도는 올라간 것 같습니다. 앤트로픽 클로드와 비교를 많이 하는데, 업무 시스템 혹은 AI 솔루션을 개발하는 입장에서는 어떤 생태계를 제공하는가가 주요한 결정 입니다. AI관련 인력을 충분히 보유한 회사의 경우는 어떤걸 사용해도 좋을 결과를 가지겠지만 일반적인 챗봇 개발 절차를 보면 다음과 같이 볼 수 있습니다. 1. 문서를 준비한다. 대부분 pdf, text, markdown 2. 문서를 파싱해서 vectordb에 올린다.     - 별도 벡터디비 구성 필요. 어떤 db를 선택할지 고민 필요     - 어떤 Parser를 사용할지, 텍스트 오버래핑은 얼마가 적당한지 고민 필요        (회사의 문서가 워낙 많고, 다양하면 하나하나 테스트 해서 좋은걸 선택하는 것이 어렵다)     - 유사도 측정은 어떤 알고리즘을 써야할지 고민 필요     - llamaindex도 고민해야 함. 3. RAG flow를 만든다.     - langchain을 쓸지, 각 AI 벤더에서 제공하는 sdk를 쓸지 고민 필요       (대부분 락인이 되지 않으려면 langchain을 사용하면 좋지만, 벤더에 특화면 기능 적용이 늦음) 4. 챗봇 UI 앱을 만든다.     - 답변이 text 로 구성되다 보니. 그래프, 이미지등 복합적인 컨텐츠를 재배치 하여 표현하기 상당히 어렵네요. (이건 제가 실력이 모자라서 .. 패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