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클스 입니다.
오늘은 mariadb 의 mydb를 생성하고 테스트 테이블 만들었습니다.
dump 로 백업하고, 복원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주기적인 백업은 무척 중요합니다.
우선 mariadb > test db 에 tbz_user 테이블 하나 만들어 줍니다.
CREATE TABLE `tbz_user` (
`user_id` varchar(100) DEFAULT NULL,
`user_nm` varchar(100) DEFAULT NULL
) ENGINE=InnoDB DEFAULT CHARSET=utf8mb3 COLLATE=utf8mb3_general_ci;
데이터를 넣어 봅시다.
INSERT INTO mydb.tbz_user (user_id, user_nm) VALUES('111', '김길동1');
그리고 백업을 해봅시다. mariadb service 가 실행되어 있어야 합니다.
$ cd ~/mariadb ==> 디렉토리 하나 만들고 들어 갑니다.
[~/mariadb]$ mysqldump -u root -p mydb > mydb.sql
Enter password:
[~/mariadb]$ ll
total 8
-rw-r--r-- 1 keulstar staff 1.9K 5 25 00:26 mydb.sql
[~/mariadb]$
잘들어 있는지 보시죠~
select * from mydb.tbz_user;
111 김길동1
222 박순식1
333 정한다1
자 이상태에서 이전에 2개의 데이터가 들어있는 것을 복구하면 어떻게 될까요?
예상은 111, 222만 남고 333은 삭제 될 것입니다.
$ mariadb -u root -p@@wecandoit1 mydb < mydb.sql
select * from mydb.tbz_user;
111 김길동1
222 박순식1
예상대로 111, 222만 나오네요~
그래서 서비스를 만들때, DB 설계 시 백업을 얼마나 자주 해야하는가? 결정하는것이 중요합니다.
그럼 이만 클스 였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