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pnpm 설치

안녕하세요. 클스 입니다. 기존 프로젝트에서 vue3 + quasar 를 사용했는데, quasar가 기본적으로 yarn 기반 입니다. 그런데 친철하게도 pnpm도 지원합니다. 처음부터 quasar 프로젝트 생성시 pnpm 으로 하면됩니다. 아직 경험적 지원이라고 하네요~ $ pnpm create quasar # experimental support install pnpm $ brew install pnpm $ pnpm --version vi ~/.npmrc 수정 strict-ssl=false save=true save-exact=true shamefully-hoist=true 소스에서 패키지 설치 $ pnpm install $ pnpm outdated ==> 설치 버전과 최신버전 비교 그냥 업데이트 $ pnpm update 최신 업데이트 $ pnpm update -L 패키지 확인 pnpm-lock.yaml 소스 실행 $ pnpm dev ==> 에러 발생 [vite] Internal server error: No ESLint configuration found in /Users/demo/front-end/user_web/.quasar * 해결 방법 프로젝트 root에 .eslintrc.cjs 파일이 있음 rules: { ... } 에 아래와 같이 추가 '@typescript-eslint/no-unused-vars': 'warn', rules: { ... 'no-unused-vars': 'off', '@typescript-eslint/no-unused-vars': 'warn', }, * 환경변수 dotENV을 적용하여 실행하기 $ ENVIRONMENT=local pnpm dev 패키지 오래된것도 한번에 확인하고, 최신 버전도 한번에 설치해주고... 여러가지 장점도 있겠지만, 아직은 잘 모르겠습니다.  장점은 댓글로 달아주시면...

[2023-07-21] vue에서 변수에 component 객체를 넣었더니, Vue.warn 이 떴다. markRaw를 사용하세요

안녕하세요. 클스 입니다. vue에서 변수에 component 객체를 넣었더니, Vue.warn 이 떴다.  component 객체는 많은 정보를 담고 있어서, watch를 하게되면 엄청난 부하가 발생한다. 그래서 친절하게 markRaw를 사용하라고 알려준다. import { markRaw } from 'vue' ; export default { data() { return { layout: null , }; }, watch: { $route: { immediate: true , handler() { this .layout = markRaw( this .$route.meta.layout || DefaultLayout); }, }, }, }; Vue.js에서  markRaw  함수는 객체를 "원시"로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Vue 반응성 시스템에서 관찰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특정 성능 문제가 있거나 특정 객체에 대해 Vue의 반응성 시스템을 선택 해제해야 하는 경우에만 사용하십시오. markRaw  함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됩니다. const obj = { a: 1, b: 2, }; const rawObj = markRaw(obj); 이제  rawObj 는 반응성이 없습니다. 즉,  rawObj 의 속성이 변경되면 Vue는 렌더링을 다시 트리거하지 않습니다. markRaw  함수는 특정 성능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매우 큰 객체를 반응성 객체로 선언하면 Vue는 객체의 모든 속성을 추적해야 합니다. 이는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markRaw  함수를 사용하여 객체를 반응성으로 선언하지 않고 렌더링을 다시 트리거하지 않도...

[2023-06-14] Quasar fileuploader 문제 해결 422 (Unprocessable Entity) performUpload @ quasar.esm.js:36051 runFactory

 안녕하세요. 클스 입니다. Quasar는 정말 vue3로 구현된 좋은 프레임워크 입니다.  아직 사용자가 많지 않아서 레퍼런스가 별로 없다는 것이 문제긴 합니다. 파일 업로더가 있는데 파일을 Drag & Drop 하면 서버에 올려줍니다. 물론 서버 rest api 가 있어야 합니다. https://quasar.dev/vue-components/uploader 그런데 메뉴얼 대로 했는데, 계속 오류가 납니다. 422 (Unprocessable Entity) performUpload @ quasar.esm.js:36051 runFactory 서버로 multi-part로 파일들을 보내는데, 서버쪽에서 files를 못받아서 문제 입니다. RESTAPI 서버는 아래 오류를 계속 발생 시킵니다. swagger로 하면 문제없이 동작 합니다. INFO:     127.0.0.1:59040 - "POST /api/upload/files HTTP/1.1" 422 Unprocessable Entity fiileupload.py @router.post( "/upload/files" ) async def create_upload_files( files : list[UploadFile]): for file in files: contents = await file.read() with open(os.path.join(UPLOAD_DIR, file.filename), "wb" ) as fp: fp.write(contents) print(file.filename) return { "filenames" : [file.filename for file in files]} fileupload.vue < template > < q-page class = "bg-light-green window-...

[2023-06-07] Quasar dotenv 로 multi profile 구축하기

 안녕하세요. 클스 입니다.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local, dev, test, staging, production 등 다양한 환경으로 API 주소등 환경을 다르게 가져가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env 파일을 이용해야 합니다. Quasar  는 process.env 를 기본으로 제공합니다. quasar.config.js에 환경 변수를 넣어주면 process.env.변수 이렇게 사용하면 됩니다. https://quasar.dev/quasar-cli-webpack/handling-process-env/ 그러나 별도 파일로 구성하면 유지관리가 직관적이고 편리하기 때문에 dotenv 패키지를 많이 사용합니다. 1) dotenv 설치하기 $ yarn add dotenv $ .env 폴더 생성 ==> project root에 생성합니다. 2) .env.local 파일 생성 후 아래 추가 APP_TITLE= ':Admin' APP_MODE= 'local-로컬' APP_VERSION= '0.6.5' API_URL= http://localhost:8001 3) quasar.config.js 에 아래 추가 /* eslint-env node */ /* * This file runs in a Node context (it's NOT transpiled by Babel), so use only * the ES6 features that are supported by your Node version. https://node.green/ */ // Configuration for your app // https://v2.quasar.dev/quasar-cli-vite/quasar-config-js const { configure } = require( 'quasar/wrappers' ); const path = require( 'path' ); const DotEnv = req...

[2023-05-31] Quasar + vite + vue 에서 raw-loader를 대체하기 vite-raw-plugin

안녕하세요. 클스 입니다. 오늘은 5월의 마지막 날이네요 Quasar는 vue3 + vite를 기반으로 합니다. 그런데 초반에 text 파일을 읽어서 처리하는데 raw-loader 를 사용했습니다. 이것은 webpack 기반이라 vite와는 맞지 않습니다. 그래서 yarn install 을 하면 아래와 같이 경고가 발생합니다. yarn install v1.22.19 [1/5] 🔍  Validating package.json... [2/5] 🔍  Resolving packages... [3/5] 🚚  Fetching packages... [4/5] 🔗  Linking dependencies... warning " > raw-loader@4.0.2" has unmet peer dependency "webpack@^4.0.0 || ^5.0.0". [5/5] 🔨  Building fresh packages... ✨  Done in 4.53s. 오늘은 똑 같은 기능을 하면서 vite 기반의 라이브러리로 대체해보고자 합니다. 먼저 raw-loader 삭제 합니다. $ yarn remove raw-loader 그리고 vite-raw-plugin 을 설치합니다. $ yarn add vite-raw-plugin 소스는 하나도 수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package.json 에 정상적으로 삭제되고 설치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vite-raw-plugin" : "^1.0.1" , < script lang = "ts" > import { useQuasar } from 'quasar' ; import { defineComponent, defineAsyncComponent, ref } from 'vue' ; import getVueTemplate from 'src/ztemplate/vue_gen_template.t...

[2023-05-31] Quasar, Vue3 : Warning "Extraneous non-emits event listeners" shows up even when emits is set ...

안녕하세요. 클스 입니다. Child.vue --> Parent.vue 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emit을 사용합니다. 그런데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Warning "Extraneous non-emits event listeners" shows up even when emits is set declare it using the "emits" option. 해결 방법1) Parent.vue 에서 root 로 div를 감싸주는 된다. 그런데 UI 가 깨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template>      <div>  : 추가       .... 여러가지 컴포넌트 들....     <MenuComponent msg="string input" @testChange="testChange" />    </div>    : 추가 </template> Child.vue 에서 아래와 같이 보내준다. <script lang="ts"> ... methods: { emit TestChange ( val ) { this .$emit( ' testChange ' , val ); }, </script> 해결 방법2)  Child.vue에 emits 를 추가해준다. Parent.vue 에서 root 로 div를 감싸주는 된다. 그런데 UI 가 깨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template>        .... 여러가지 컴포넌트 들....     <MenuComponent msg="string input"  @testChange="testChange" /> </template> Child.vue 에서 아래와 같이 보내준다. <script lang...

[2023-05-25] MariaDB dump 로 backup & restore

안녕하세요. 클스 입니다. 오늘은 mariadb 의 mydb를 생성하고 테스트 테이블 만들었습니다. dump 로 백업하고, 복원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주기적인 백업은 무척 중요합니다. 우선 mariadb > test db 에 tbz_user 테이블 하나 만들어 줍니다. CREATE TABLE `tbz_user` ( `user_id` varchar ( 100 ) DEFAULT NULL , `user_nm` varchar ( 100 ) DEFAULT NULL ) ENGINE =InnoDB DEFAULT CHARSET=utf8mb3 COLLATE =utf8mb3_general_ci ; 데이터를 넣어 봅시다. INSERT INTO mydb.tbz_user (user_id, user_nm) VALUES('111', '김길동1'); INSERT INTO mydb.tbz_user (user_id, user_nm) VALUES('222', '박순식1'); 그리고 백업을 해봅시다. mariadb service 가 실행되어 있어야 합니다. $ cd ~/mariadb ==> 디렉토리 하나 만들고 들어 갑니다. [~/mariadb]$ mysqldump -u root -p mydb > mydb.sql Enter password: [~/mariadb]$ ll total 8 -rw-r--r--  1 keulstar  staff   1.9K  5 25 00:26 mydb.sql [~/mariadb]$ INSERT INTO mydb.tbz_user (user_id, user_nm) VALUES('333', '정한다1'); 잘들어 있는지 보시죠~ select * from mydb.tbz_user ; 111 김길동1 222 박순식1 333 정한다1 자 이상태에서 이전에 2개의 데이터가 들어있는 것을 복구하면 어떻게 될까요? 예상은 111, 222만 남...